일그러진 ‘20대 남자’의 초상 (2021) - 김소희(Curator’s Atelier 49 디렉터)




Us 혹은 Cage : <우리 없는 우리> (2020) - 김진혁(독립큐레이터)


송석우 <Wandering, Wondering> 낯선 사회에서 방황하는 청년들 (2020) - 장영수(사진예술 기자)


《Wandering, Wondering》 : ‘묶음’을 풀기, ‘한눈’에 읽기를 포기하기 (2020) - 김맑음(독립큐레이터)


International Photography Awards_Book, Monograph 부문 은상 수상자 인터뷰 (2018) - 조원준(VDCM 기자)


젊은 날의 초상_<정체성의 사유> 리뷰 (2018) - 석현혜(사진예술 기자)


궤도를 이탈함으로써 우리의 시선은 확장된다 (2018) - 황혜림(로우갤러리 큐레이터)



송석우 사진가의 초기작업인 ‘IDENTITY : 정체성의 사유’는 작가의 정체성에 대한 질문과 각기 다른 시간, 공간, 대상을 조합해 이미지를 완성해 나가면서, 자신의 정체성을 지극히 추상적으로 표현한다. 그는 대중에게 다양한 해석과 감상이 가능한 사진 작업을 선보이고 제시했다.

새로 발표한 ‘Wandering, Wondering’ 작업은 ‘IDENTITY : 정체성의 사유’ 작업의 연장선이다. 빠 르게 변화하는 사회에서 적응하지 못하는 청년들, 특히 20대 남성들을 대상으로 이야기 담고 있다. 이런 작업을 할 수 있는 이유는 작가가 경험한 사회와 성인이 되어가면서 느끼는 감정을 꾸밈 없이 솔직하게 녹여내 사진으로 보여준 덕분이라고 생각한다. 현시대 청년의 목소리를 사진에 반영하는 송석우 사진가가 궁금해졌고 궁금증을 풀기 위해 찾아갔다.



Q. 간단한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사진 매체를 기반으로 작업하고 있는 송석우입니다. 최근에는 인물과 사회적인 관계를 파악하며 개인의 서사를 비롯해 사람이 타인과 맺는 관계에 대해서 관심이 있습니다. 주로 몸짓 언어와 퍼포먼스를 이용하여 사람들이 상호작용하는 방식, 그리고 거기에 관여하는 사회적인 원리를 탐구하는 사진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Q. 처음 카메라를 접하고 사진을 찍게 된 계기가 궁금합니다.
어렸을 때부터 항상 무언가를(인물이든 사물이든 모든 것에) 주시하면서 멍을 때리는 아이였습니다. 어머니께서는 멍을 때리는 것도 일종의 관찰하는 것이라고 생각을 하셨는지 장점의 일환으로 삼아 그림 그리는 것에 상상력과 창의력을 높여보자는 취지로 미술학원을 다니게 도와주셨습니다. 어느 날에는 제가 드로잉을 할 때 밑그림용으로 참고하라고 어머니께서 카메라로 사진을 촬영해 주셨습니다. 드로잉을 할 때마다 어머니께서 카메라로 도와주시는 그런 모습을 보면서 자연스럽게 어머니의 카메라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이 후 본격적으로 사진의 길에 들어서게 되었습니다.


Q. 일상용 카메라와 작업용 카메라를 구분해서 사용하는 편인가요?
네. 구분해서 사용합니다. 작업용 카메라를 일상용 카메라로 사용하면 기동성이 떨어진다고 생각합니다. 일상용으로 찍으려면 간편하고 편리하게 찍을 수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저는 간단하게 들고 다니고 촬영이 편리한 ‘리코’ 브랜드의 ‘GR lll Street Edition’ 카메라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작업용으로 ‘WISTA 45-SP’ 대형카메라를 사용합니다. 기동적인 면에서 편하지는 않지만, 선예도가 우수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WISTA 45-SP는 디지털이 아닌 필름을 사용하기 때문에 필름 홀더를 장착해 사진을 촬영하고 있습니다. 사용하는 필름은 Kodak Portra 160입니다.


Q. 작가님에게 카메라는 어떤 의미가 있나요?
일상적으로 느끼는 감정들에서 더 나아가 희로애락에서 나아가 그 이상의 여러 감정이 있습니다. 그런 감정을 대신할 수 있는 도구인 동시에 필연적인 도구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이 저의 솔직한 이야기를 표현할 수 있는 수단인 동시에 저의 생각과 메시지를 투영시킬 수 있는 도구라고 생각합니다.


Q . 기억에 남았던 사진 작업이 있나요?
유영진 작가님 작업이 떠오릅니다. 인사미술공간이란 전시장에서 전시했던 작업시리즈 ‘캄브리아기 대폭발’입니다. 이 전시는 사진으로 풀어낼 수 있는 메시지를 드로잉, 설치, 영상, 사운드 모든 것들을 다 아우르면서 전 영역을 총망라 한 작업 패턴들을 보여주셨습니다, 그 전시를 감명 깊게 보았고 현재까지도 기억에 강하게 남아있습니다.


Q. 영향을 받은 사진가가 있나요?
사진가이자 미디어 아티스트인 정연두 작가님입니다. 정연두 사진가의 ‘내 사랑 지니’ 작업 시리즈가 특별합니다. 내 사랑 지니 작업 시리즈를 보면 딥틱(Diptych) 형태로 왼편에는 한 인물의 현시대를 보여주고 오른편은 본인이 이루고 싶은 꿈에 대한 직업을 동시다발적으로 보여주는 작업입니다. 그런 사진 작업이 저에게는 매우 흥미롭게 다가왔습니다. 예전에 딥틱(Diptych) 작업도 시도해 봤고 이런 작업을 연결해서 다른 작업을 할 수 있는 원동력을 얻었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정연두 작가님의 ‘내 사랑 지니’ 작업이 생각나고 그에 영향을 받은 것 같습니다.


Q. 특별히 기억에 남는 작업이 있나요?
2017년도에 작업한 ‘IDENTITY : 정체성의 사유 #05’ 이미지입니다. 이 사진 작업은 프로세스가 매우 힘들었던 작업입니다. 작업을 도와주는 친구들이 많이 필요했고 사진이 찍히는 양옆에서 수많은 천을 날려야 하는 작업이었습니다. 특히 이날은 더운 여름날이었는데 묵묵히 고생해 주었던 친구들이 기억이 납니다. 그리고 이 작업 시리즈로 2019년에 국립현대미술관 정부미술은행에 소장이 되어, 더 뜻깊고 애착이 가는 시리즈 작업입니다.


Q. 최근 진행 중인 작업에 관해 설명 부탁드립니다.
2017년도 ‘IDENTITY : 정체성의 사유’란 작업인데 ‘나는 무엇을 향해 달려 가는가’라는 자아의 대한 질문을 던지면서 시작된 작업입니다. 그 질문을 던지면서 이 작업이 저에게는 불완전한 시선으로 다가왔습니다. 이 작업은 흑백으로 작업했습니다. 흑백으로 작업한 이유는 색 데이터를 제거함으로써 주관적인 생각과 내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사진작업을보면 각기 다른 시간과 공간, 대상을 조합해 나가면서 마주하는 감정을 비롯하여 대신한 작업입니다.

‘Wandering, Wondering’ 작업은 초기 사진 작업의 연장선입니다. 이 작업은 성인이 되어가면서 점점 사회화 되어가고 시스템화된 사회 속에 살아가는 우리 모두의 이야기를 표현한 작업입니다. 이 작업은 규격화된 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우리 모두의 이야기를 몸짓 언어와 퍼포먼스적인 행위들을 사진으로 담아낸 작업입니다. ‘IDENTITY : 정체성의 사유’ 작업은 미시적 관점에서 바라봤다면, ‘Wandering, Wondering’ 작업은 거시적 관점에서 바라보고 진행했다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Q. 앞으로 진행하고 싶은 작업 또는 준비중인 작업이 있나요?
네. 저는 ‘Wandering, Wondering’ 사진 작업을 연장선으로 진행을 계속 하지만 조금 다른 새로운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서 구상하고 있습니다. 이유는 작년 겨울에 저희 아버지가 교통사고로 중환자실에 입원하셨던 적이 있습니다. 이 사건을 통해 의식과 무의식에 관한 생각이 점점 깊어지고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이후 의식과 무의식이 교차하는 지점, 혹은 공통으로 발생하는 지점을 인물과 정물에 빗대어 새롭게 작업을 구상하고 있습니다.


Q. 사진을 통해 무엇을 보여주고 싶은가요?
저는 점점 성인이 되어가면서 사회화 되어가고 시스템화된 사회구조에 대한 이야기들을 인물 작업으로 풀어내고 있습니다. 저는 사진 작업을 통해서 대중에게 거짓 없고 꾸밈없는 자의식을 드러내는 사진을 보여주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