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그러진 ‘20대 남자’의 초상 (2021) - 김소희(Curator’s Atelier 49 디렉터)
인물과 사회적인 관계를 탐구하는 송석우 사진가 (2021) - 엄우산(VDCM 기자)
Us 혹은 Cage : <우리 없는 우리> (2020) - 김진혁(독립큐레이터)
송석우 <Wandering, Wondering> 낯선 사회에서 방황하는 청년들 (2020) - 장영수(사진예술 기자)
《Wandering, Wondering》 : ‘묶음’을 풀기, ‘한눈’에 읽기를 포기하기 (2020) - 김맑음(독립큐레이터)
젊은 날의 초상_<정체성의 사유> 리뷰 (2018) - 석현혜(사진예술 기자)
궤도를 이탈함으로써 우리의 시선은 확장된다 (2018) - 황혜림(로우갤러리 큐레이터)
인물과 사회적인 관계를 탐구하는 송석우 사진가 (2021) - 엄우산(VDCM 기자)
Us 혹은 Cage : <우리 없는 우리> (2020) - 김진혁(독립큐레이터)
송석우 <Wandering, Wondering> 낯선 사회에서 방황하는 청년들 (2020) - 장영수(사진예술 기자)
《Wandering, Wondering》 : ‘묶음’을 풀기, ‘한눈’에 읽기를 포기하기 (2020) - 김맑음(독립큐레이터)
젊은 날의 초상_<정체성의 사유> 리뷰 (2018) - 석현혜(사진예술 기자)
궤도를 이탈함으로써 우리의 시선은 확장된다 (2018) - 황혜림(로우갤러리 큐레이터)
1. 안녕하세요. 간단한 소개 부탁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석우라고 합니다. 대구예술대학교 사진영상미디어학과에서 순수사진을 전공했고 현재는 홍익대학교 디자인콘텐츠대학원에서 사진디자인 석사과정을 밟고 있습니다. 주로 하는 작업은 사회적인 요소와 그 속의 인물과의 대립관계를 연구하고 있으며 현재는 ‘나’ 자신에 대한 정체성과 관련한 작업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특히 올해는 ‘IDENTITY : 정체성의 사유’ 개인전을 비롯해 제17회 동강국제사진제 거리설치전과 대구사진비엔날레 등 총 24회의 그룹전에 참여했습니다.
2. 처음 사진을 시작하게 된 계기가 있나요?
초등학교 때 미술에 관심이 많았습니다. 어머니께서 드로잉을 할 때 밑그림용으로 참고하라고 카메라로 여러 사진을 촬영해 주셨습니다. 자연스럽게 어머니의 카메라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시간이 지나면서 사진이라는 예술 매체에 더욱 깊게 빠져들어 사진의 길에 들어섰습니다.
3. 현재 어떤 활동을 하고 계시는지 궁금합니다.
현재는 예술고등학교 기간제 교사와 사진학원 강사직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개인 작업도 꾸준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4. IPA 2018에서 Book, Monograph 부문 은상을 수상했습니다. 소감을 말씀해주신다면?
현재 사진계에서 가장 야심적이고 포괄적으로 꼽히는 국제대회에서 은상을 받게 되어 너무 기쁩니다. 무엇보다도 제 작업을 좋아 해주시는 분들과 관심을 가져주시는 분들이 있다는 것에 큰 의의를 두며 너무 뜻깊은 한 해로 마무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5. 어떻게 참여하게 되었나요?
대학원 교수님과 선배들의 추천 그리고 주위 작가들의 추천으로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6. 이번 IPA 수상작인 ‘IDENTITY : 정체성의 사유’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앞으로 나아가는 과정의 그림을 그려보며, 문득 ‘나는 무엇을 향해 달려가는가’라는 질문을 던지곤 했습니다. 폭풍처럼 흔들리고 고민하는 나 자신을 돌아보는 시기를 가지면서 비롯된 불완전체의 시선을 나만의 감정으로 표현한 작업입니다. 내가 경험한 것과 가장 가까운 정서를 불러일으켜 어떻게 보이는가를 간접적으로 드러나게 하고 싶었습니다. 때로는 현실로부터 일탈하고자 하는 마음과 정신적인 자유로움을 반영하며, 누구나 한 번씩 겪어보았을 어떠한 두려움과 트라우마에 대한 나의 솔직한 감정을 나타냈습니다. ‘나’에 대한 해석과 그 해석을 어떻게 사진적인 방법으로 전환해 보이고 있는가를, 또 사적인 ‘나’의 감정들과 형태들을 지극히 추상적인 표현을 통해 대중들에게 다양한 해석과 감상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했습니다.
7. 전체적으로 사진이 흑백의 톤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렇게 표현한 이유가 있을까요?
현재 모습을 흑백의 이미지로 투영시켜 크고 작은 세상 속에서 지루하지만 익숙한 시간과의 대립구도를 가지고 예기치않은 혼돈의 시선을 보여주려 했습니다.색정보가 없는 흑과백을 선택하여 작업한 이유는 컬러에서 나타나는 시각적인 요소를 줄여 집중도를 높여주는 동시에 주관적인 시선에서 표현하고자 모노톤으로 작업하고자 했기 때문입니다.
8. 작품 속 인물은 누구인가요?
각기 다른 시간, 공간, 대상들을 조합하여 이미지를 완성해 나가는 과정에서 수많은 감정들을 만나게 되며, ‘나’라는 존재에 현실과 마주하는 복잡미묘한 감정을 대신하는 특정 인물을 배치하여 저 자신을 투영시키는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9. 특별히 기억에 남는 사진, 혹은 애착이 가는 사진을 꼽자면?
<IDENTITY : 정체성의 사유> 중 중앙에 인물이 배치되어있고 수많은 천이 날려진 사진을 꼽을 수 있겠습니다. 한 장의 사진이 완성되기까지의 과정이 무척이나 힘들었기 때문입니다. 주위 동료들이 도와주었기에 조금은 수월하게 마무리 되었지만, 촬영하는 내내 천을 던지고 날리고 하는 행위를 수백번 이상 시도했습니다.여러 노력과 고생으로 만든 사진이기 때문에 기억에 남고 제일 애착이 가는 사진입니다.
10. 사용하는 장비는 무엇인가요?
캐논 5D Mark III과 캐논 24-70mm 렌즈, 캐논 스피드라이트 430 EX II와 WISTA SP 4x5 대형 포맷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11. 앞으로의 작품 활동이 궁금합니다.
사회적인 요소와 인물과의 대립 관계를 연구해왔던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시간과 공간, 대상들을 조합해 하나의 이미지를 완성해 나가는 과정에서 마주하는 저의 생각과 관점들을 심층적으로 이미지에 나타내보려고 합니다. <IDENTITY : 정체성의 사유> 시리즈의 연장선, 혹은 그 이상에 있는 새로운 작품으로 잘다듬어 향후 유수의 전시참여와 사진비평상 공모에 좋은결과로 이어지도록 노력을 기울일 생각입니다.
12. 어떤 사진가가 되고 싶은지?
형식적인 작가가 아닌 수많은 대상을 관찰하며 느낀 자의식을 작업에 솔직하게 나타내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더불어 대중들과 공감대를 형성해 상호간의 거리낌 없이 소통하는 작가가 될 것입니다. 많은 관심 가져주시고 지켜봐주셨으면 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석우라고 합니다. 대구예술대학교 사진영상미디어학과에서 순수사진을 전공했고 현재는 홍익대학교 디자인콘텐츠대학원에서 사진디자인 석사과정을 밟고 있습니다. 주로 하는 작업은 사회적인 요소와 그 속의 인물과의 대립관계를 연구하고 있으며 현재는 ‘나’ 자신에 대한 정체성과 관련한 작업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특히 올해는 ‘IDENTITY : 정체성의 사유’ 개인전을 비롯해 제17회 동강국제사진제 거리설치전과 대구사진비엔날레 등 총 24회의 그룹전에 참여했습니다.
2. 처음 사진을 시작하게 된 계기가 있나요?
초등학교 때 미술에 관심이 많았습니다. 어머니께서 드로잉을 할 때 밑그림용으로 참고하라고 카메라로 여러 사진을 촬영해 주셨습니다. 자연스럽게 어머니의 카메라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시간이 지나면서 사진이라는 예술 매체에 더욱 깊게 빠져들어 사진의 길에 들어섰습니다.
3. 현재 어떤 활동을 하고 계시는지 궁금합니다.
현재는 예술고등학교 기간제 교사와 사진학원 강사직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개인 작업도 꾸준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4. IPA 2018에서 Book, Monograph 부문 은상을 수상했습니다. 소감을 말씀해주신다면?
현재 사진계에서 가장 야심적이고 포괄적으로 꼽히는 국제대회에서 은상을 받게 되어 너무 기쁩니다. 무엇보다도 제 작업을 좋아 해주시는 분들과 관심을 가져주시는 분들이 있다는 것에 큰 의의를 두며 너무 뜻깊은 한 해로 마무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5. 어떻게 참여하게 되었나요?
대학원 교수님과 선배들의 추천 그리고 주위 작가들의 추천으로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6. 이번 IPA 수상작인 ‘IDENTITY : 정체성의 사유’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앞으로 나아가는 과정의 그림을 그려보며, 문득 ‘나는 무엇을 향해 달려가는가’라는 질문을 던지곤 했습니다. 폭풍처럼 흔들리고 고민하는 나 자신을 돌아보는 시기를 가지면서 비롯된 불완전체의 시선을 나만의 감정으로 표현한 작업입니다. 내가 경험한 것과 가장 가까운 정서를 불러일으켜 어떻게 보이는가를 간접적으로 드러나게 하고 싶었습니다. 때로는 현실로부터 일탈하고자 하는 마음과 정신적인 자유로움을 반영하며, 누구나 한 번씩 겪어보았을 어떠한 두려움과 트라우마에 대한 나의 솔직한 감정을 나타냈습니다. ‘나’에 대한 해석과 그 해석을 어떻게 사진적인 방법으로 전환해 보이고 있는가를, 또 사적인 ‘나’의 감정들과 형태들을 지극히 추상적인 표현을 통해 대중들에게 다양한 해석과 감상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했습니다.
7. 전체적으로 사진이 흑백의 톤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렇게 표현한 이유가 있을까요?
현재 모습을 흑백의 이미지로 투영시켜 크고 작은 세상 속에서 지루하지만 익숙한 시간과의 대립구도를 가지고 예기치않은 혼돈의 시선을 보여주려 했습니다.색정보가 없는 흑과백을 선택하여 작업한 이유는 컬러에서 나타나는 시각적인 요소를 줄여 집중도를 높여주는 동시에 주관적인 시선에서 표현하고자 모노톤으로 작업하고자 했기 때문입니다.
8. 작품 속 인물은 누구인가요?
각기 다른 시간, 공간, 대상들을 조합하여 이미지를 완성해 나가는 과정에서 수많은 감정들을 만나게 되며, ‘나’라는 존재에 현실과 마주하는 복잡미묘한 감정을 대신하는 특정 인물을 배치하여 저 자신을 투영시키는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9. 특별히 기억에 남는 사진, 혹은 애착이 가는 사진을 꼽자면?
<IDENTITY : 정체성의 사유> 중 중앙에 인물이 배치되어있고 수많은 천이 날려진 사진을 꼽을 수 있겠습니다. 한 장의 사진이 완성되기까지의 과정이 무척이나 힘들었기 때문입니다. 주위 동료들이 도와주었기에 조금은 수월하게 마무리 되었지만, 촬영하는 내내 천을 던지고 날리고 하는 행위를 수백번 이상 시도했습니다.여러 노력과 고생으로 만든 사진이기 때문에 기억에 남고 제일 애착이 가는 사진입니다.
10. 사용하는 장비는 무엇인가요?
캐논 5D Mark III과 캐논 24-70mm 렌즈, 캐논 스피드라이트 430 EX II와 WISTA SP 4x5 대형 포맷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11. 앞으로의 작품 활동이 궁금합니다.
사회적인 요소와 인물과의 대립 관계를 연구해왔던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시간과 공간, 대상들을 조합해 하나의 이미지를 완성해 나가는 과정에서 마주하는 저의 생각과 관점들을 심층적으로 이미지에 나타내보려고 합니다. <IDENTITY : 정체성의 사유> 시리즈의 연장선, 혹은 그 이상에 있는 새로운 작품으로 잘다듬어 향후 유수의 전시참여와 사진비평상 공모에 좋은결과로 이어지도록 노력을 기울일 생각입니다.
12. 어떤 사진가가 되고 싶은지?
형식적인 작가가 아닌 수많은 대상을 관찰하며 느낀 자의식을 작업에 솔직하게 나타내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더불어 대중들과 공감대를 형성해 상호간의 거리낌 없이 소통하는 작가가 될 것입니다. 많은 관심 가져주시고 지켜봐주셨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