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20대 남자’인가?
최근 '20대 남자'(속칭 ‘이대남’)에 대한 담론이 화제가 되고 있다. 올해 4월 7일에 있었던 서울-부산 재보선 선거에서 20대 남자의 표심이 예상과 전혀 다르게 나온 것이 발단이 되었다. 통상 사회 초년생이 대다수인 20대는 기성세대에 대한 거부감으로 진보적 성향이 강할 것으로 여겨졌으나 투표 결과는 반대로 보수 정당에 많은 지지를 보낸 것으로 집계되었다. 이미 이와 비슷한 현상을 주목하여 천관율(시사IN) 기자와 정한울(한국리서치 전문위원)연구위원이 공동으로 진행한 여론조사를 기반으로 『20대 남자』(2019)라는 제목의 책이 발간된 바 있다. 설문이 208개에 이른 이 초대형 여론조사는 20대 남자가 다른 세대와 어떻게 다른 생각을 갖고 있는지 또 그들은 어떤 사회 현상에 대해 침묵하거나 분노하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송석우의 <Wandering, Wondering>(2019-2021)연작은 바로 이 청년 세대가 체념하는 한국 사회의 부조리한 상황과 그 속에서 살고 있는 20대 청년의 초상을 그려보고자 한 것이다. 그는 특히 ‘20대 남성’을 작업의 모델로 선정하였는데, 20대 초반에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고민으로 제작한 전작인 <IDENTITY:정체성의 사유>(2017-2018)의 연장선으로 볼 수 있다. <Wandering, Wondering>이 전작과 다른 점은 자아 정체성에 대한 개인의 고민이 ‘20대 남성’이 라는 집단의 정체성으로 확장된 것이다. <Wandering, Wondering>는 전작과 마찬가지로 작가가 세심하게 선정한 촬영 장소와 작업 의도에 부합하는 의상을 입힌 모델에게 특정한 의사와 표정을 전하는 몸짓 언어를 연기하도록 연출하는 수행적(performative) 작업이라는 것이 주요 특징이다.

<IDENTITY:정체성의 사유>연작은 모두 흑백으로 촬영되었는데 사진 속 인물은 사회 초년생이 주로 입는 양복(또는 자켓)을 입고 있다. 외딴 폐허 앞 공터에서 휘날리는 천에 얼굴이 가려진 챈 서 있는 모습이나, 파도가 치는 해변을 마주하고 의자에 몸이 묶인 채 앉아 있는 뒷 모습, 캄캄한 밭의 한가운데서 인공조명을 받으며 서 있는 뒷모습, 바닷가 바위 위 경계 밧줄 위에 상체를 구부리고 있는 모습 등 사진에 등장하는 모든 인물은 작가 자신이었다. 그러나 그는 매번 얼굴을 내보이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자화상은 정체성에 대한 고백으로 얼굴의 형상과 표정을 통해 심리상태나 감정을 표출하는데 송석우의 <IDENTITY:정체성의 사유>작업이 다른 결을 가지는 이유는 바로 얼굴을 감춘다는 것에 있다. 얼굴을 가리거나 뒷모습을 포착하는 것은 내면 상태를 드러내지 않으려는 의도로써 내적 자아를 드러낸다기보다는 사회적으로 보여지는 외적 자아를 더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사진 속의 인물이 입고 있는 복장이나 포즈를 통해 재현되는 몸짓 언어가 더 중요한 해석의 기호로 작용하게 된다.


‘20대 남자’가 왜 무기력한가
필자는 송석우의 두 연작 <IDENTITY:정체성의 사유>, <Wandering, Wondering> 중 각각의 인물이 비슷한 포즈를 하고 있는 사진에 먼저 관심을 가지게 되었는데, 차단물(바위 위에 설치된 차단 밧줄, 교통 차단대)에 상체를 구부리고 걸쳐 있는 모습이 그것이다. <Wandering, Wondering>의 <#01>사진에는 작가의 표현대로 ‘고장 난 병정(군인)’처럼 보이는 이들의 포즈는 에너지가 소진되어 ‘피로’하거나 ‘무기력’하거나 어떤 자극이나 억압에도 반응하거나 저항할 의사가 없는 ‘포기 상태’로 보였기 때문이다. 왜 20대 ‘청년’들이 이토록 무기력하며 그들이 포기한 것은 도대체 무엇인가.

청년 세대를 비유하는 또 다른 신조어로는 ‘삼포(三抛)세대’가 있었다. 2011년 경향신문의 특별취재팀이 만든 기획물 <복지국가를 말한다>에 처음 등장한 ‘삼포세대’는 "불안정한 일자리, 학자금 대출상환, 쌓여가는 스펙에도 불구하고 어려운 취업, 치솟은 집값 등 과도한 삶의 비용으로 인해 연애도, 결혼도, 출산도 포기하거나 기약 없이 미루는 청년층"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사회, 경제적 압박으로 인해 포기하는 것이 점점 많아진다는 뜻에서 3포세대(연애, 결혼, 출산 포기), 5포세대(3포 세대+내 집 마련, 인간관계), 7포세대(5포세대+꿈, 희망)에서 더 나아가 특정 숫자가 정해지지 않고 여러 가지를 포기해야 하는 ‘N포세대’라는 용어로 확장되었다.

이처럼 우리 사회의 현주소에서 청년층의 삶을 드러내는 상징적 용어로 자리 잡은 N포세대를 참고할 때 광나루 비행장에서 촬영했다는 <Wandering, Wondering>연작의 <#01>에서 질서 유지를 위한 가드(guard)위에 같은 복장을 하고 축 늘어진 빨래처럼 상체를 접고 있는 모델들은 바로 20대 N포세대의 상징처럼 보이는 것이다. 이 사진에서 두드러지는 또 다른 특징은 화면을 좌우로 가르는 흰색 선과 초록색 선이 교차하면서 만드는 ‘X’자이다. 흰색을 지우기 위해 초록색을 위에 칠한 것으로 짐작되지만 오히려 더 분명하게 도드라져서 흰색 선을 교란시키고 있다. 그것이 필자에게는 ‘10’을 의미하는 로마자 ‘X’로 보이는데 특정 숫자를 정하지 못할 만큼 많은 N포세대의 ‘N’으로 치환할 수도 있고 한국사회의 부정적인 상황을 은유하는 기호로 볼 수도 있다.

‘20대 남자 현상’, ‘N포세대’처럼 특정 세대를 일컫는 것 외에도 ‘헬조선’, ‘피로사회’, ‘경쟁공 화국’, ‘중독공화국’ 등과 같이 현재 한국사회를 빗댄 신조어를 살펴보면 상황은 더 심각하다. 20대 ‘청년’이 왜 경쟁에 내몰리고 피로에 찌들어 있는가는 다음의 두 저서에서 배경을 찾아 볼 수 있다. 한병철(재독 철학자, 카를스루에 조형예술대학 교수)은 『피로사회』(2012)에서 자본주의 시스템의 진화가 낳은 성과주의가 더 큰 성과로 더 큰 성공을 이루고자 하는 개개인의 욕망을 부추겨 생산성을 극대화해간다고 언급하였다. 저자는 이러한 사회에서 살고 있는 성과주체로서의 개인은 과잉활동을 통해 자기 스스로를 착취하면서 자신에게 피로를 가하는 가해자인 동시에 피해자가 된다고 지적하였다.

강수돌(前 고려대 교수) 역시 『경쟁 공화국』(2020)을 통해 현대사회를 움직이는 자본주의가 양산한 성과주의의 경쟁 논리에 함몰된 개인은 학교에서, 직장에서 치열하게 경쟁하지만 결국 잘 살게 되지도 못하고 인간성 소외와 관계의 소외에 빠지게 된다고 언급하였다.

이렇게 우리 사회를 진단하는 사회학적인 관점을 참조하여 볼 때 송석우의 <Wandering, Wondering>연작 중 <#12>, <#23> 속의 인물은 성과주의와 경쟁 논리에 함몰되어 자신의 경쟁자와 맞서고 있는 ‘일그러진’ 20대의 초상으로 읽힌다. 그리고 어느 물류센터의 한 층에서 촬영된 <#05>에서 건물 기둥 하단의 페인트 색과 유사한 색의 옷을 입은 인물들이 ‘사람 인 (人)’자 형상을 연출하고 있는 것을 타인과의 연대라는 긍정의 의미로 해석하기보다는 온몸을 다해 대항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면 필자만의 부정적인 시각일까.


몸짓 언어를 이용한 연극적 초상
살펴본 바와 같이 시스템화된 자본주의 사회 구조의 일원으로서의 개인의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시각화한 송석우의 <IDENTITY:정체성의 사유>는 작가 본인도 포함되는 ‘20대 남자’라는 한 집단의 초상을 그리는 <Wandering, Wondering> 프로젝트로 확장되어왔다.
송석우에 의해 지정된 복장으로 몸짓언어를 수행하는 사진 속의 20대 남자의 모습은 자신의 본성과 의지를 표출하는 자화상이라기보다는 사회가 요구하는 규범을 따르는 ‘연극하는 인물’ 로 등장한다. 그들의 개성을 감추기 위해 작가는 마치 유니폼과 같은 특정 복장을 입게 하고 얼굴을 돌리게 하거나 표정을 알아보지 못하도록 먼 거리에서 촬영하였다. 그들은 곧 송석우 라는 작가가 재현하고자하는 ‘20대 남자’의 유형을 상징하는 페르소나(persona)인 셈이다. 페르소나는 본래 연극 배우가 쓰는 가면을 가리켰으나 카를 융(Carl Gustav Jung)의 분석심리 학적 관점에 의하면 사회에서 요구하는 도덕, 질서, 의무 등을 따르는 것으로 자신의 본성을 감추거나 다스리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 페르소나를 자신이 타인에게 어떻게 보여지는가를 염두에 두고 좋은 이미지를 주기 위해 본성과는 다른 가면을 쓰고 연기하는 것으로 해석해도 된다면, 송석우의 <Wandering, Wondering> 프로젝트는 여전히 종잡을 수 없고(wandering), 이상한 듯한(wondering) 세상에서 가면을 벗어던지고 진정한 자아 정체성을 찾아 떠나는, 여전히 진행 중인 여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